건축.建築.Space

입찰 가격(설계예가, 설계금액, 조사가격)에 대한 용여정리!

영구원(09One) 2022. 11. 14. 05:00
건축 관련 입찰을 준비하는 사람이든... 그 외 사람들이든!?
입찰은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은 다양한 가격? 에 대하여 낯설기도 하고 궁금해하기도 한다.
오늘은 다양한 가격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지난번 글에서 다루었던, 추정 가격과 추정금액에 대해서는 별도로 작성하지 않겠다. 아래 글을 참고하시가 바란다. 

https://jackti.tistory.com/923

 

"추정가격, 추정금액" 정의와 사용용도에 대한 이야기

시설공사, 물품구매, 용역 등 입찰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용어!!! 비슷하면서도 약간씩 다른 그 용어의 정의하고... 그 용어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추정 가격이란?

jackti.tistory.com

 

 

 

 

설계 예가? 설계금액!

건축에서는 설계사무소에서 작성한 금액을 말한다. 설계사무소에서 설계도서를 작성하고, 내역 사무소에서 수량 산출하고 단가를 입력하여 취합한 금액을 설계금액 입찰에서는 설계 예가라고 부른다. 하지만 꼭 설계사무소에서 작성한 금액만이 설계 예가라고 부르지 않고... 발주처에서 만들어낸 모든 금액을 설계 예가라고 말한다.

예를 들자면... 소방시설 위탁용역에 대한 대가를 직접 산출하거나 간단한 공사의 대가를 직접 산출하든 또는 복잡한 용역의 대가를 원가계산 업체에 용역을 발주하여 받은 금액도 모두 설계 예가라고 말한다.

자체적으로 입찰을 진행하는 기관에서는 설계 예가를 조사 가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단순한 입찰에서는 설계 예가 조사 가격 혼용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시설공사의 설계내역서를 자제적으로 원가 검토할 수 있는 기관이..... 몇 개나 될까?ㅎㅎ

 

 

 

조사 가격(원가검토)

입찰을 준비하는 사람들이라면 조사 가격에 잘 모를 것이다. 왜냐?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어느 특정한 경우에 나온다. 예를 들어 발주처에서 시설공사 입찰을 자체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조달청에 의뢰했을 때 나오는 단어이다. 발주처에서 시설공사 입찰을 조달청에 의뢰하면 조달청이 입찰공고/개찰/계약만 진행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조달청의 가장 큰 역할 중 하나는 "원가검토"이다. 이 설계사무소에서 작성한 설계 예가의 단가가 적정한지... 발주처에서 검토가 불가하기에 조달청에서 검토하는 원가검토라는 과정을 거치고 입찰을 진행한다.

 

조달청은 원가검토를 위해 매년 상/하반기 시장 가격을 조사한다. 그리고... 그 외 가격정보

 

- 원가 제비율 공포하는 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

- 시중노임단가 공포하는 대한건설협회

- 표준품셈 공포하는 건설기술연구원

- 시설자재 가격 공포하는 조달청, 전문가격조사 기관 등

- 표준시장단가 공포하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자체적인 시장 가격 조사와 각 기관에서 매년 1~2회 이상 공포하는 자료를 데이터베이스 화하여 발주처에서 입찰을 요청하면 원가검토를 진행한다. 그 원가 검토한 가격을 조사 가격이라고 한다. 조달청에서 원가검토를 진행하면, 대부분 비슷하게 나오기도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는 설계 가격보다 조사 가격이 월등히 적게 나오는 경우도 본 적이 있다. 

 

원가검토는 일반적인 발주처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웬만큼 거대한 발주처(LH, 교육청, 도시공사, 국방부)를 제외하고는...

사실 시설공사 원가검토가 불가능하다. 

 

https://www.kseis.co.kr/bbs/data/dataDetail.do?bbs_seq=880114823001 

 

2022년 상반기 조달청 가격정보 |한국표준품셈정보원 > 자료실

2022년 상반기 조달청 시설공통자재 및 시장시공 가격정보입니다. 조달청에서 매년 2회 상·하반기 발표하는 가격정보 입니다.  ○ 본 시설공사 공통자재가격 및 시장시공가격은 우리 청 시설공

www.kseis.co.kr

 

 

 

입찰 관련 다양한 가격을 한 번에 정리하려고 하는데, 하나하나 작성하는데 지문이 길어진다. 
그만큼 입찰 관련 용어를 단순히 하나의 문장이다 표현하기 어려운 거 같다.